티스토리 뷰

반응형

 

 

 

코리안숏헤어의 역사와 종류

 

코리안 숏헤어라고 불리는 한국 고양이는 삼국시대부터 기록을 찾아볼 수 있는 역사가 아주 오래된 고양이예요.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절에 있는 경전을 취로부터 보호하려고 중국을 통해서 들어오면서 퍼졌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인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에서도 코리안 숏헤어와 비슷하게 생긴 고양이를 많이 만나볼 수 있죠. 코리안 숏헤어 고양이들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자료는 약 8~9세기 신라 때로 알려져 있는데요. 8~9세기 이전에도 고양이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고양이보다는 삵이나 살쾡이와 더 가까웠다고 해요.
현재 코리안 숏헤어 고양이 품종 같은 경우에는 뚜렷한 특증이 없어서 공식적인 묘종으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어요.

 

대한민국 대표 한국 고양이 코리안 숏헤어의 종류를 알아보자면 무늬가 다양하게 있는데요. 젖소, 삼색이, 고등어, 카오스, 올블랙, 턱시도, 치즈, 줄무늬가 있어요. 그런데 사실 코숏 하면 다양한 고양이 품종 믹스가 많아서 몸 전체에 무늬가 있기도 하고 배나 발에만 색이 있는 경우도 있어요.

그중에서 삼색이는 희색이나 검은색, 주황색의 털이 섞여 있는 고양이 품종 중에 하나인데 유전적으로 99%가 암컷 고양이예요. 그 이유가흰색 얼룩무늬가 성염색체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해요. 아주 가끔 수컷 삼색이도 있지만, 성염색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리고 올블랙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 토종 고양이가 아니라 외국 품종묘의 피가 섞여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요.

 

 

코리안숏헤어의 특징

 

코리안 숏헤어는 털이 매우 짧은 단모종이예요. 털 빠짐이 있지만 심하지는 않고요. 거기에 골격은 큰 편이어서 사냥하기에 적합한 체력을 가지고 있어서 쥐 나 새 등을 점프해서 잡아 오기도 해요. 체중은 대부분 3~6kg 정도로 중형급 체형을 가졌어요. 눈 색이 밝은 갈색이나 주황, 노란색으로 다양하고 얼굴은 V자형이면서 입은 약간 길고 하관이 날씬한 편이에요. 간혹 털 코트가 올블랙이거나 화이트, 눈 색이 오드아이인 아이들도 있는데 다른 품종과의 믹스 묘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그리고 이렇게 자연에서 아주 다양한 유전자가 섞여 있어서 면역력이 강하고 특별한 유전병없이 튼튼한 편이에요. 다만, 길냥이 출신인 경우 면역력이 약할 수 있어 허피스(헤르페스), 폐렴 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격 묘종에 따라 성격 특징이 있기도 하지만, 코리안 숏헤어의 성격은 고양이마다 아주 달라요. 다양한 유전 형질이 섞이면서 성격도 아주 다양해졌다고 볼 수 있죠.

그래서 어떤 환경에서 자라고, 어떤 보호자를 만났냐에 따라 성격이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만 코숏은 과거 길고양이였고, 현재도 길고양이 출신인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사냥 본능, 야생성이 강하고 경계심도 높은 편이에요.

 

 

코리안 숏헤어와  친해지기, 그리고 그들의 전설

 

우리나라에 길고양이의 대부분은 코숏이기 때문에, 그들을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곳 또한 골목길이에요. 만약 밥을 챙겨 주고 싶다면 인적이 드문 골목길을 물색한 뒤 길고양이가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는 밤이나 새벽 시간대를 노려봐요.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것을 싫어하는 이웃들도 더러 있기 때문에 고양이가 해코지를 당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낮 시간에 밥을 주는 것은 지양해야 해요. 또한 눈에 띄는 그릇보단 작은 봉지 등에 사료를 넣어 물어가게 한 뒤 사람들이 없는 은신처에서 먹게 하는 것이 고양이게게도 이웃에게도 최선이에요.

 

* 숙종이와 금손이

조선시대 19대 왕인 숙종은 고양이를 사랑했던 집사로 알려져 있는데 치즈 태비 공양이 금손이를 아주 아꼈다고 한다. 이는 김시민의 <동포집>에 잘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숙종은 고양이를 두고 먼저 세상을 떠나 금손이는 밥도 잘 안먹고 20일간 슬퍼하다가 결국 무지개다리를 건너게 되었다고 한다.

 

* 세조를 구한 고양이

심한 피부병을 앓고 있던 세조가 성원사라는 절에서 치료를 받고 부처에게 절을 했는데 이때 고양이가 나타나 세조의 옷자락을 물고 늘어졌다. 심상치 않아 법당을 살펴보니 자객이 있었다. 고양이 덕분에 목숨을 구한 세조는 상원사에 밭을 하사하고 고양이 상도 만들어주었다.

 

 

반응형